수소 안전관리 로드맵 2.0
Hydrogen Safety Management Roadmap 2.0
수소안전은 수소산업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기반
수소산업 선도국가
신기술 제품 · 설비
>
안전기준개발
안전검사실시
수소경제 기여 내용
HYDROGEN ECONOMY
수소 안전기술 제공
- 접촉연소식, 반도체식, 열전도식 등 다양한 수소 센서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수소 누출 감지와 수소순도 측정을 가능하게 함
- 폭발하한농도(4%) 이하부터 100%까지 광범위 수소 농도 측정이 가능하여 수소 인프라(차량, 충전소, 발전소)의 안전을 강화함
- 0~100% 광범위 수소농도 측정(20ppm 이하 및 90% 이상)
수소의 폭발하한농도 4%
저농도 검지 : 수소누출 감시
고농도 검지 : 수소순도 측정
0~100% 광범위 수소농도 측정
20 ppm 이하 및 90%이상
0.1% 이하 저농도
1~10% 폭발 경보농도
0~100% 광범위 농도
수소 인프라 실증 사업 참여
BUSINESS LIST
- 한국동서발전과 함께 수소 · 산소센서 실증에 참여
- 강원 동해시에 위치한 수소생산기지에 센서를 설치하고 실증 운영 중
- 수전해 실증설비 수소 및 산소센서 적용 (한국동서발전)
2023
재생에너지 기반 알칼라인 수전해
장치 고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
실증장소
한국동서발전 동해바이오발전센터 : 강원도 동해시 구호동 223
실증기간
2023 . 06 부터 2년간
참여기관
기업
연구소
대학
㈜테크윈, 한국동서발전, 수소에너젠, 한화솔루션, 신우전자, 이노테코
에너지기술연구원,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
단국대, 호서대, 한양대, 충남대, 아주대
강원 동해시 수소생산기지 구축
수소, 암모니아 전용부두 구축
한국동서발전 레퍼런스 기반
수소센서 PoC 진행
암모니아 센서 PoC 논의 중 [ 2024년 착수예정 ]
차세대 수소기술 연구 협업
DEVELOPMENT
- 수소 시장 선도를 위한 초격차 기술확보 목표
- 수전해, 연료전지, 액화수소 수송 등 신기술 개발 분야 참여
- 미래기술 : 수소시장 선도를 위한 초격차 기술확보
수소차 충전소, 연료전지 중심의 수소안전관리 기반 마련
수소 신기술 제품 및 설비의 상용화 지원 및 안전관리 필요
ROADMAP
청정수소
생태계 조성
수전해
암모니아
액화수소
- 12.5 MW급 재생에너지 연계 대규모
- 암모니아 기반 청정수소 생산 파일럿 실증
- 대용량 수소 생태계 조성
세계 1등
수소산업 육성
신기술개발
규제완화
- 수전해, 액화수소수송, 연료전지, 충전소 등 7대분야
- 수소차 충전소 셀프충전, LPG 충전소에 연료전지 설비
청정수소
생태계 조성
추진전략
내년까지 37개 58% 완료
64개 과제
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
규제개선
청정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한
H2 안전기준 개발
안전과 산업 균형발전을 위한
수소 안전관리
주요내용
안전기준 개발
28개
수소 모빌리티/수소 발전
- 자동차와 수소모빌리티도 수소차 충전소에서 충전 ['24]
- 도시가스 배관망에 수소입을 위한 안전기준 개발 ['26]
청정수소 생산/발전
- 대용량수전해 및 수소추출설비 전용 안전기준 개발 ['23]
- 고압 수전해 스택 전용 안전기준 개발 ['24]
- 암모니아 기반 수소추출설비 안전기준 개발 ['25]
액화수소 전주기
- 액화수소 생산용 LNG 냉열 배관 안전기준 개발 ['24]
- 액화수소 핵심부품 [용기 · 밸브] 안전기준 개발 ['24]
- 액화수소 해외수입 및 인수기지 안전기준 개발 ['25]
암모니아 활용
- 발전용 대용량 암모니아 탱크· 배관 안전기준 마련 ['27]
- 암모니아 선박충전 및 표준용기 안전기준 개발 ['27]
규제개선
18개
검사제도
- 신기술 제품 설비 개발 시 신속 검사체계 적용 ['24]
- 자율안전관리 우수사업자 검사완화 등 인센티브 부여 ['23]
수소 자동차 충전소
- 셀프충전 도입 ['24] 및 도심형 충전소 안전거리 완화 ['23]
- 실내 수소충전 활성화를 위한 안전기준 합리화 ['24]
안전관리
18개
맞춤형 안전관리
- 대규모 수소 생산 저장시설 안전관리 강화 ['27]
- 수소시설 통합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['30]
역량 강화/홍보
- 액화수소, 추전해 등 수소 제품검사시험 인프라 구축 ['25]
- 수소 안전체험 홍보 프로그램 운영 및 수소의 날 개최 ['23]
탄소중립 기여 내용
CARBON NEUTRALITY
청정에너지 기반 가스 제품의 대중 보급
- 수소, 도시가스, 일산화탄소 감지를 위한 스마트 가스센서 시스템은 KC(한국), FCC(미국), CE(유럽) 인증을 받아 상용화
- 스마트 가스센서 시스템 미국 아마존에 입점이 확정
- 이는 일반 소비자(B2C)에게도 수소 기반 연료 사용을 더 안전하고 쉽게 만들며, 청정에너지 사용의 일상화를 유도
- 도시가스 및 일산화탄소 IoT 가스경보시스템
- 가정용 및 캠핑용 가스안전 B2C 제품
- KC(한국), FCC(미국), CE(유럽) 인증 획득
- 미국 아마존 입점 확정
- 전략적 수출을 위한 디자인
- 원예 및 축산용 악취관리 시스템
- ICT 국가표준 준용 및 농업기술진흥원 검정품
- KS 규격 인증 획득
- 암모니아, 이산화탄소, 온습도 측정센서 확장
ICT 기반 에너지 안전관리 기술로 스마트 탄소중립 시스템 지원
AI, 디지털 트윈, 클라우드 연계 스마트센서 시스템은
에너지 시설의 안전을 고도화하며 효율적인 청정에너지 관리 체계 구축에 기여
가스발생
1
가스센서
- MEMS front etching
- 일산화탄소 감지용
- 소비전력 50mW 이하
2
가스경보기
- 형식승인 기술기준 준용
- 블루투스 페어링
- DC전원·베터리 혼합형
4
외부전송
- 아파트 관리사무소, 경비실
- 숙박업소, 캠핑장 관리실
- 외부에 있는 지정된 가족 등
강원 동해시 청정 수소 생산기지